목록전체 글 (110)
ㅅㅇ
1. Transactional 이란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또는 유사한 시스템에서 상호작용의 단위. 데이터에 대한 하나의 논리적 실행 단계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라는 말을 사용했는데, 쉽게 말하면 더 이상 쪼개질 수 없는 최소의 연산 트랜잭션의 목적은 트랜잭션을 조작하는 기능은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 완전성을 유지하는데 확신을 심어주게 하는 것이다. 어떤 연산에 트랜잭션이 보장된다면, DB에서 의도치 않은 값이 저장되거나 조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2. @transactional @transactional은 클래스나 메서드에 붙여줄 경우, 해당 범위 내 메서드가 트랜잭션이 되도록 보장해준다. 직접 객체를 만들 필요 없이 선언만으로도 관리를 용이하게 해주기 때문에 선언..
Gson 라이브러리 의존성 설정 Gradle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com.google.code.gson:gson:2.7' } Gson 라이브러리 의존성 설정 Maven com.google.code.gson gson 2.7 import 및 객체 생성 import com.google.gson.Gson; Gson gson = new Gson(); 예제 - Java Object -> JSON 문자열 String json = new Gson().toJson(objectData); - JSON 문자열 -> Java Object Object objectData = new Gson().fromJson(jsonData);
첫 번째 방법 - 자바 코드 매핑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Getter @Setter @Builder public class AccountDTO { private int accountId; private String accountEmail; private String accountPassword; private String accountName; public static AccountDTO toDTO(AccountEntity account) { return new AccountDTO( account.getAccountId(), account.getAccountEmail(), account.getAccountPassword(), account.getAccoun..
1. 스프링 컨테이너 ApplicationContext 1. ApplicationConext 스프링 컨테이너 BeanFactory 인터페이스의 하위 인터페이스. BeanFactory에서 부가기능(환경 변수 관련 처리, 애플리케이션 이벤트, 리소스 조회, 국제화 기능)을 추가한 것. 2. BeanFactory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 스프링 빈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역할. BeanFactory, ApplicationContext를 구분해서 말하지만, AppicationContext 가 BeanFactory 의 모든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BeanFactory를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3. 스프링 컨테이너의 특징 - 싱글톤 컨테이너 기본적으로 빈을 싱글톤으로 관리. bean 생성..
환경 Windows 11 kafka 2.8.0 https://kafka.apache.org/downloads 1. 설치 및 실행 1. 다운로드 위 사이트에서 2.8.0 버전 다운로드 후 원하는 곳에 압축 풀기 cmd 창 켜기 압축 푼 kafka 디렉토리로 이동 cd C:\backendCLASS\99.devEnv\kafka2.8.0 2. zookeeper 실행 # zookeeper 실행 명령어 bin\windows\zookeeper-server-start.bat config\zookeeper.properties 새로운 cmd 창을 띄운 뒤, zookeeper 정상 실행되었는지 port확인 netstat -na | findstr "2181" 3. kafka 실행 # kafka 실행 명령어 bin\window..
Kafka란? Apache KafKa(아파치 카프카)는 대용량의 이벤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링크드인(LinkedIn)에서 개발한 분산 스트리밍 플랫폼이다. 발행-구독 메시지를 분산 커밋 로그로 재해석한 시스템. 대용량의 실시간 로그처리에 특화되어 있는 솔루션으로 데이터를 유실없이 안전하게 전달하는 것이 주목적인 메세지 시스템에서 Fault-Tolerant한 안정적인 아키텍처와 빠른 퍼포먼스로 데이터를 처리해준다. 다수의 기업이 대용량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를 위한 전송 계층으로 Kafka를 사용합니다. 소개된 수많은 개발 프로젝트에서 Kafka는 데이터 스테이징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습니다. Kafka의 특징 카프카는 파티션이란 개념을 도입하여 여러 개의 파티션을 서버들에 분산시켜 나누어 ..